
긴축의 시간, 버티는 자가 이긴다
필자가 국가적 경제 위기를 처음 접한 것은 1997년 IMF때이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 벤처버블이 꺼졌을때, 2008년 금융위기, 2019년 코로나 정도가 될 것 같다. 한가지는 확실하다. 불황은 누구도 이길 수 없다.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아무리 날고 기는 기업도 이 추세 앞에서는 몸을 낮춰야 한다.
삼성의 고 이병철 회장은 사업에 있어서 가장 큰 위험요소가 전쟁이라고 했었다. 특히 일제시대 중일전쟁과 한국전쟁 등 전쟁이 발생했을 때 말 그대로 그의 사업은 풍비박산이 났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다. 그에 비하면 어쩌면 요즘의 경제 위기들은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
흐름을 읽어야 한다.
경기의 흐름에는 분명한 추세가 있다. 어떤 산업은 일시적으로 호황을 누릴 수도 있다. 하지만 국가 단위, 세계 단위의 불황 앞에선 예외가 없다. 이럴 때 기업이 해야 할 일은 간단하다. 버티는 것이다. 무리하게 맞서려 하지 말고 흐름을 인정하고 생존 전략을 짜야 한다.
무모한 확장은 도박일 뿐
간혹 추세를 무시한 채 오히려 투자를 늘리거나 인력을 늘리는 이들이 있다. 물론 극소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무모한 도박에 불과하다. 비 오는 날 우산도 없이 뛰쳐나가는 격이다.
긴축이 곧 생존이다
한국은 이미 마이너스 성장으로 진입했다. 정치도 불안하고 거시경제도 망가지고 있다. 지금은 아껴야 할 때다. 전열을 정비하고 모든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불필요한 비용은 과감히 줄이고 인력은 꼭 필요할 때만 선발해야 한다. 대표부터 말단 직원까지 전원이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는 생각이 조직 곳곳에 퍼져야 한다.
가장 어두운 시간, 새벽은 온다
어둠이 가장 짙을 때 새벽은 온다. 지금을 잘 버틴 기업은 이후 몇 배로 성장할 수 있다. 반면에 허리띠를 풀고 허세를 부리는 기업은 사라질 것이다. 그래서 긴축이다. 그래서 생존이다. 지금은 살을 깎는 고통을 견딜 시간이다. 불황은 못 이긴다. 버텨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