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눈에 띄었던 한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첫날 주가는 40% 하락했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장하면 투자자들은 이익을 기대하지만 현실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스타트업 투자, 득과 실의 균형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을 경우에 투자자는 상장이나 지분 매도를 통해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지분 투자의 경우 창업자는 자신의 지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회사가 성공하더라도 창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몫이 줄어드는 딜레마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투자금이 상장 등의 엑시트(exit)가 어려울 경우 대출금으로 전환되는 조항이 포함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사실상 대출을 받는 것과 다름없다.
앞에 언급한 기업은 적자를 메꾸기 위해 투자를 계속 받았고 지분이 희석되었다. 투자자들은 투자금 회수를 위해 무리해서 상장을 한 것이다. 투자자들이 워낙 큰손이라 어떻게 상장은 성공을 했다. 하지만 기업의 가치가 낮으니 상장을 했음에도 창업자와 투자자 모두가 손실을 보았다.
투자 유치보다 중요한 기업의 재무 건전성
스타트업들이 얼마의 가치를 인정받아 투자를 유치했는지 뉴스에 자주 나온다. 하지만 이러한 기업들의 재무 상태를 들여다보면 적자가 누적된 경우가 많다. 이들은 ‘아마존 모델’을 언급하며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적자를 감수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거대한 시장에서나 가능하다. 대한민국처럼 시장 규모가 작은 환경에서는 동일한 전략이 통하기 어렵다.
대한민국에서 투자는 사실상 대출이다
대한민국에서 투자는 사실상 대출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게 아니라면 거의 사기다. 개인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손실의 책임을 투자자에게만 전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엔젤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었다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
진정한 성과는 투자금이 아니라 자생력
창업가는 투자 유치를 성과로 여기고 대대적으로 과시할 필요가 없다. 진정한 성과는 투자금이 아닌 자력으로 창출한 매출과 지속 가능한 순이익을 통해 증명해야 한다. 기업의 가치는 외부 자금 조달 여부가 아니라, 스스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투자자가 단순한 자금 지원자가 아니라 멘토로서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 상황은 다를 수 있다. 업계 경험, 네트워크, 경영 전략 등 창업자의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투자자라면 고려해볼 만하다. 그러나 투자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며,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