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친구가 줄어든다. 대부분의 원래 친구들은 직장인들이다. 매달 급여를 받고 조직의 룰 안에서 살아간다. 반면 사업가는 불확실성 속에서 자신의 길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 삶의 방식 자체가 다르다. 점점 대화의 공통분모가 사라진다.
사장이 되면 친구가 이렇게 말한다. “넌 사장이니까 좋겠다.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잖아.” 말은 그렇게 하지만 그 말 속에는 어렴풋한 거리감이나 시기심이 섞여 있기도 하다. 사장은 “속 편한 소리 한다”라고 속으로 생각한다. 사장은 전직원들의 심기를 훑어봐야 한다. 알바들 눈치까지 봐야 하는게 사장이다. 이 사실을 직장인들은 알지 못한다. 사장의 일거수일투족을 전직원이 한눈으로 감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장이 자리만 비워도 금방 티가 난다. 회사의 공기가 달라진다. 대기업이든 구멍가게든 다 그렇다.
성공해도, 실패해도 혼자다
사업이 잘되면 잘되는 대로 쉽게 말하지 못한다. 괜한 자랑처럼 들릴까 조심스럽다. 예전 알던 친구들과는 보는 시야와 환경이 바뀐다. 반대로 사업이 어려울 때는 더 말하기 어렵다. 그런 처지를 설명하기에 불편하고 자존심도 상한다. 성공해도 혼자이고 실패해도 혼자다.
사업가들끼리도 친구가 되기 쉽지 않다. 같은 업종이면 경쟁자라 말하기 어려운 것이 있다. 다른 업종이면 서로의 고충이나 현실을 깊이 이해하긴 어렵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불경에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이 있다. 무소는 “코뿔소”를 뜻한다. 대부분 코뿔소는 무리를 짓지 않고 혼자 다닌다고 한다. 뿔은 강인하고 곧은 이미지다. 주변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 길을 가는 상징인 것이다. 외롭게 살라는 뜻은 아니다. 진리와 신념을 따라 묵묵히 나아가라는 의미다. 집착 없이 의지하지 않고 자기 길을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 타인의 인정이나 비난에 휘둘리지 말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