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사업자가 처음부터 대형 회계컨설팅 회사와 손잡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은 소형 세무 사무소과 함께 출발한다. 매월 기장료를 내는 형태이다. 세무 사무소들은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해 몇 개월간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표면적으로는 비슷해 보이는 이 구조 속에서 사업자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두 가지다.
세무 사무실 담당 직원
첫째, 세무 사무소 직원의 역량이다. 정작 사업자와 가장 많이 소통하는 이는 세무사가 아니라 담당 직원이다. 이분들은 세무 관련 학과를 나온 분들로 실제 실무를 담당한다. 특성화고(옛 상고)를 나온 분들도 많다. 유능한 세무 사무실의 직원은 회사가 미처 챙기지 못한 부분을 먼저 짚어주고 부탁하지 않아도 적극적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도 있다. 전화를 걸면 한숨부터 내뱉고 사무소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조차 사업자에게 떠넘긴다. 말투 하나 태도 하나가 쌓여 결국 업무 전반에 불편을 낳는다.
절세와 정부지원금을 찾아주는 세무사
둘째, 세무사의 전문성이다. 뛰어난 세무사는 절세 방안이나 정부 지원금을 먼저 제안한다. 나아가 재무 전략이나 경영 자문에 가까운 조언까지 더한다. 선을 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일부 세무사들은 “한 달 기장료에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말라”는 식으로 선을 긋는 곳도 있다. 더 이상의 가치를 주려 하지 않는다. 이런곳을 잘 걸러내야 한다.
세무 사무실의 사정
물론 세무 사무소의 입장도 이해할 수 있다. 기장료와 결산 수수료가 주된 수익원이다. 대부분 표준 비용 체계를 따르니 일을 덜 시키는 고객을 선호한다. 재무 구조나 매출 내역이 복잡해질수록 부담스러워한다. 많은 업무로 세무 사무소 직원이 떠날까 걱정해 “그건 어렵다”라며 돈 되는 사업자만 남기는 경우도 있다.
처음부터 좋은 파트너를 만나야 하는 이유
세무 사무소은 한 번 계약하면 바꾸기 번거롭다. 처음부터 좋은 파트너를 만나야 한다. 세무 행정에 발목 잡히지 않고 사업자는 사업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세무 사무소 선택은 단순한 아웃소싱이 아니라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첫 번째 파트너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