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평소 불확실한 문장을 쓰지 않으로려고 노력한다. ‘~한 듯’, ‘~하면 좋을 듯하다’ 같은 표현은 책임을 회피할 때 많이 쓰게 된다. 틀려도 좋다. 확정형으로 말하라. 리더는 선택과 결정의 무게를 피하지 않아야 한다.
한 단어의 모호함이 전세를 바꾸다
미국 남북전쟁의 명장 로버트 리 남부군 총사령관은 이 원칙을 어긴 대가를 혹독하게 치렀다. 1863년 게티즈버그 전투 당시 그는 부하 장군에게 “가능하다면(If practicable) 언덕을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문제는 바로 그 단어 “가능하다면”이었다.
당시 상황은 언덕을 점령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지시를 받은 장군은 병사들을 쉬게 하기 위해 물러섰다. 그 언덕은 북군 손에 남아 전투가 끝날 때까지 북군 방어의 핵심 거점이 되었다. 결국 이는 남군의 대패로 이어졌다. 전쟁의 승패를 갈랐던 건 총알이 아니라 문장이었다.
확신과 책임을 보여줘라
리더십의 본질은 확신과 책임이다. 명확히 말하는 것은 단순히 언어 습관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리더가 스스로 책임을 지겠다는 선언’이다. 모호한 문장은 상대에게 책임을 전가시키기 위한 경우가 많다.
불확실한 문장은 패배를 부른다. 확정형 문장은 믿음을 만든다. 리더의 말 한마디가 조직의 운명을 가른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전권을 위임하고 자율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런것이 아니라면 지시를 할때는 확실하게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