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회사들은 토요일 오전에도 근무를 했었다. 사회초년생인 내게도 토요일은 설레는 날이었다. 오후에 약속도 잡고 자기계발도 하고 다양한 여가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돌이켜보면 지금보다 토요일을 더 알차게 보냈던 것 같다. 좋든 싫든 아침에 일어나 옷을 차려 입고 나가야 했기 때문이다. 요즘엔 일정이 없으면 토요일에는 집에서 늦잠을 자고 뒹굴기 쉽다.
급여생활자에게 휴일은 설렘의 시간
사업가와 급여를 받는 직장인 사이에는 ‘휴일’에 대한 시각에서 큰 차이가 존재한다. 급여생활자에게 휴일은 기다려지는 시간이다. 새해가 시작되면 달력을 펼쳐 올해 공휴일이 며칠인지 세어보기 바쁘다. 샌드위치 데이가 있는지 살핀다. 연차를 활용해 긴 휴가를 보낼 방법을 고민한다. 휴일이 많을수록 더 여유로운 한 해를 기대한다.
사업가에게 휴일이란
반면 사업가의 시선은 정반대다. 관광업이나 유원지처럼 휴일에 매출이 늘어나는 업종이 아니라면 휴일은 곧 매출 감소를 의미한다. 손님이 줄어들어도 인건비는 그대로 나가야 한다. 사무실 임대료 역시 멈추지 않는다. 휴일이 늘어날수록 지출과 손실은 더 커진다. 특히 막 창업해 수익 구조가 아직 탄탄하지 않은 사업자라면 토요일과 일요일조차 비어 있는 사무실이 뼈아프게 느껴진다.
업종 특성상 휴일에도 직원이 근무해야 하는 경우라면 부담은 더욱 커진다. 법에 따라 휴일 근무는 통상임금의 1.5배를 지급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이런 이유로 많은 사업자에게 휴일은 마냥 즐겁지 않은 날이다.
휴식의 필요성과 사업자의 현실
물론 휴식은 필요하다. 리프레시를 통해 재충전하고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삼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출이 불안정하고 당장 생존을 위해 돈을 벌 방법을 찾아야 하는 사업자에게 휴일은 달갑지 않은 장벽이 되기도 한다. 휴일은 급여생활자에게는 기다림의 시간, 사업자에게는 고민의 시간이 되는 셈이다.
지금 사업이 너무 잘되고 있다면 휴일은 전혀 아깝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직원들을 더 쉬게 하고 더 충전하게 할 수 있을까 고민 할 것이다. 빨리 모두가 그런 사업가가 되어야 한다.